
공간정보 시스템(GIS)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데이터의 구조입니다.
다양한 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서 이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면, 도구 사용에서 많은 혼란이 생기기 때문입니다. 특히 QGIS와 같은 오픈소스 GIS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이 구조에 대한 이해가 작업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좌우합니다.
GIS에서 가장 핵심적인 데이터 구조는 크게 벡터(Vector) 와 래스터(Raster), 두 가지로 나뉩니다. 이 글에서는 이 두 구조의 특징과 차이를 설명하고, QGIS에서 이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간단히 짚어보겠습니다.
1. 벡터(Vector) 데이터란?
벡터 데이터는 지리적 위치를 좌표값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. 현실 세계의 객체를 점, 선, 면과 같은 형태로 정밀하게 묘사할 수 있습니다.
구성 요소
- 점(Point) : 하나의 위치를 나타냅니다. 예: 나무, 정류장, CCTV 등
- 선(Line) : 두 점 이상을 연결한 형태로, 길이나 흐름을 표현합니다. 예: 도로, 철도, 하천 등
- 면(Polygon) : 선이 닫힌 형태로, 공간을 둘러싼 구역을 나타냅니다. 예: 호수, 건물, 행정구역 등
특징 요약
- 정밀도 높음 : 좌표 기반이기 때문에 실제 위치와의 오차가 적습니다.
- 속성 정보 연결 가능 : 객체 하나하나에 이름, 면적, 고유 ID 등 다양한 정보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.
- 위상 관계 표현 가능 : 객체 간의 인접성이나 연결성 같은 공간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자주 쓰이는 파일 형식
- `.shp` : 가장 널리 사용되는 쉐이프파일
- `.geojson`, `.kml` : 웹 지도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
- `.dxf`, `.dwg` : CAD 기반의 설계 파일 포맷
2. 래스터(Raster) 데이터란?
래스터 데이터는 공간을 일정 크기의 격자(픽셀)로 나누고, 각 칸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. 주로 이미지 형태의 공간 데이터에 쓰이며, 위성사진이나 지형도, 토지피복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.
구조와 원리
- 공간을 행(Row)과 열(Column)로 나눈 그리드 구조
- 각 픽셀마다 고유한 값(예: 고도, 온도, 토양 유형 등)을 가짐
- 해상도(픽셀 크기)에 따라 표현력 차이 발생
특징 요약
- 빠른 처리 속도 : 대규모 공간 분석에 적합
- 정밀도는 해상도에 따라 결정 : 픽셀이 클수록 현실과의 차이가 커짐
- 위상 정보 없음 : 객체 간의 관계를 알기 어려움
위치 정보 처리 방식
- 월드 파일 : `.tfw`, `.jgw` 등의 보조 파일로 위치 정보 제공
- GeoTIFF : 위치정보를 내부에 포함한 `.tif` 포맷
대표 파일 형식
- `.tif`, `.jpg`, `.png` : 일반적인 이미지 기반 파일
- `.geotiff` : 위치정보를 내장한 고정밀 이미지
- `.img` : 고급 위성 영상 분석용 포맷
3. 벡터 vs 래스터

4. QGIS에서의 활용 팁
QGIS에서는 벡터와 래스터 데이터를 모두 불러와 사용할 수 있지만, 도구마다 지원하는 데이터 형식이 다릅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분석 툴은 벡터 레이어만 입력받거나, 래스터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도구 실행이 되지 않거나,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.
또한, 육안으로 보기에 비슷한 도형이라도 내부 구조가 다를 수 있으므로, 속성창 또는 레이어 타입 확인을 통해 벡터인지 래스터인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.
5. 핵심 요약
QGIS를 포함한 대부분의 GIS 도구에서 가장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개념은 다음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:
"벡터는 점, 선, 면 / 래스터는 격자 구조"
이 개념만 명확히 알고 있어도, 공간 데이터를 다룰 때 많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실제로 벡터와 래스터 데이터를 직접 불러와 비교해보는 것이 이해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다음 포스트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 벡터와 래스터의 차이를 QGIS에서 어떻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실습 중심으로 다뤄보겠습니다. 직접 해보면 훨씬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.
#QGIS활용법, #QGIS벡터, #QGIS래스터데이터, #QGIS벡터데이터란
'공부하고(상업시설) > QG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GIS 좌표계 설정, 수정 방법, 경도 위도 지정, epsg 종류 (0) | 2025.04.01 |
---|---|
QGIS 기본 용어 및 피쳐 선택 방법, 속성테이블 편집 (0) | 2025.03.13 |
QGIS csv 파일 여는 방법, 인코딩, 좌표계 설정법 (0) | 2025.03.05 |
QGIS 지도 다운로드, 설치 및 불러오기, QGIS 플러그인 설치 방법 (0) | 2025.02.24 |
QGIS 설치법, QGIS 다운로드 방법 정리 (0) | 2025.02.10 |